홍보센터

과학기술과 ICT를 적극 투여하여 재난 대응을 고도화하고
세계 재난 안전 산업분야까지 선도하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자료실

(시론) 성수대교 붕괴 27년, 우리가 할 일은?
작성자 : 관리자(duck-4120@hanmail.net)
작성일 : 21.11.29   조회수 : 388

 

1021일은 성수대교 붕괴사고 27주년이 되는 날이다이 날을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성수대교 사고 3년 뒤우리 사회의 부실 관행을 반성하고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을 높여나가기 위해 성수대교 사고 희생자 위령비가 세워졌다.

지금 이 위령비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위령비를 알고 찾아가는 것 또한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우선 대중교통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연간 약 700만명 이 방문하는 서울숲과는 불과 30m 인근에 있음에도 펜스로 막혀 접근이 불가능하다.

27년 전 성수대교의 붕괴가 주는 교훈이 점차 잊혀져 갈 수밖에 없는 이유 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다.

성수대교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은 용접불량과 유지관리 부실이다이 보다도 근본적인 원인은 당시 건설 관련 제도와 관행형식적인 유지관리 제도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인 교량을 건설하는 기술은 선진 기술을 도입하고 건설 기술인들의 노력으로 빠르게 성장하였다.

성수대교 붕괴 5년 뒤에 준공된 서해대교는 케이블 교량을 국산화한 첫 사례였다. 2016년 준공한 천사대교는 압출공법으로 세계 최장인 1.71km의 구조물을 만든 기록도 세웠다.

남해대교를 대체하여 2018년 건설된 노량대교는 세계 최초로 경사형 주탑과 함께 3차원 형상의 주케이블을 적용한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총 연장 3.6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인 터키의 차나칼레대교는 우리나라 건설사가 만들고 있다.

이처럼 교량 설계와 건설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세계로 수출되고 있다.

시설물의 유지관리 체계도 성수대교 붕괴사고를 계기로 구축되었다사고 이듬해인 1995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

제정되어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계획과 관리가 이루어졌다.

성수대교 붕괴 이후 해외에서는 2007년 미국의 미네소타주의 I-35W교량의 붕괴사고가 있었고, 2018년에는 이탈리아의 모란디교, 2019년에는 대만의 아치교량이 붕괴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시특법 대상 교량이 붕괴하는 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자랑할 만한 일이지만동시에 프랑스의 정치가 나폴레옹의 가장 커다란 위험은 승리의 순간에 도사린다라는 말이 연상된다.

우리나라는 압축 성장시기인 1970~80년대를 기점으로 사회기반시설 건설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 시기에 집중적으로 만들어진 시설물들이 30년이 지나 노후화되면서 사고로 이어질 위험도 그만큼 높아진 상태이다.

실제 사용연수가 30년이 지난 노후 시설물의 비중은 전체 시설물의 16.98%이며, 10년 후인 2031년에는 43.54%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에서 교량은 전체 노후 시설의 23.2%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에는 재난 위험이 높거나 재난 예방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한 소규모 시설물을 제3종 시설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특법을 전면 개정하여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설물안전법)을 시행함으로써 소규모 노후 시설의 안전을 강화하였다.

이것만으로 노후화되고 있는 시설물의 커다란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담보할 수 있을까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시설물 안전법에 따라 급속히 증가하는 노후 시설의 안전점검과 보수·보강 등의 유지관리를 하면서 무작정 예산을 들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에 선제적 투자와 관리를 통한 유지관리와 장래예측을 통한 성능 극대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이 2020년에 시행되었다.

이로써 시한 폭탄과도 같은 노후 교량의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확보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아무리 좋은 제도와 기술이 있어도 구체적인 실행이 없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시설물의 안전관리는 시설물의 주인인 관리책임기관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

새로운 법제도 이행을 다음 담당자에게 미루는 등의 소극적인 태도와 관행을 뒤돌아 보고 개선해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제도의 효용성이 검증되고 정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도에 발맞추어 유지관리의 효율화가 요구된다최근 시설물의 유지관리에는 항상 스마트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이라는 단어가 따라붙는다.

빅데이터인공지능, IoT 등의 기술이 접목되어 안전하고 정확하게빠르고 효과적으로 시설물을 유지관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새로운 기술의 적용에 있어서 예산과 시간을 투입하고도 소기의 성과가 없는 경우 해당 기술의 적용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실패를 반면 교사삼아 꾸준히 도전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행동할 때이다.

성수대교 사고 희생자 위령비의 뜻을 잊지 말자는 말보다는 시설관리주체와 유지관리 전문가들의 행동이 필요한 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박영수 국토안전관리원 원장>

  

<e대한경제>

이전글 (기고) 목적 달성도 어려운 중대재해처벌법, 왜 만들었나?
다음글 (특별기고) '중대재해처벌법'은 정의로운가

리스트
상담 및 견적문의 아이콘상담 및 견적 문의
전화/팩스
전화 / 팩스02-6052-4120 / 02-6082-4120.
메일
메일duck-4120@hanmail.net
TOP